금일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CS학습모듈 산업별역량체계(SQF)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 산업 현장의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능력(지식, 기술, 태도)을 국가적 차원에서 표준화 한 것으로 능력단위 또는 능력단위의 집합을 의미합니다.
–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이 현장의 '직무 요구서' 입니다.
NCS학습모듈
– NCS의 능력단위를 교육훈련에서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한 '교수•학습 자료'입니다. NCS 학습모듈은 구체적 직무를 학습할 수 있도록 이론 및 실습과 관련된 내용을 상세하게 제시하고 있습니다.
산업별역량체계(SQF: Sectoral Qualifications Framework)
– 산업분야별로 현장에서 통용되는 표준 직무를 도출하여 표준화하고, 직무 수행에 필요한 능력을 구조화한 것으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등을 토대로 교육훈련-학위-자격-경력을 연계하여 활용하는 체계를 의미합니다.
정의: 산업 현장의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능력(지식, 기술, 태도)을 국가적 차원에서 표준화 한 것으로 능력단위 또는 능력단위의 집합을 의미합니다.
개념도
NCS를 활용의 장점(개인, 기업)
– 기업은 NCS를 활용해서 조직 내 직무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직무 중심의 인사제도를(채용, 배치, 승진, 교육, 임금 등) 운용이 가능 합니다.
– 취업준비생은 기업이 어떤 능력을 지닌 사람을 채용하고자 하는지 명확히 알고 이에 맞춰 직무능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 교수자(교수, 교사, 훈련기관 등)는 NCS를 활용하여 교육과정을 설계함으로써 체계적으로 교육훈련과정을 운영할 수 있고, 산업현장의 필요로 하는 실무형 인재 양성이 가능합니다.
– 국가기술자격을 직무 중심의 NCS활용으로 개선하여 실제로 그 일을 잘할 수 있는 사람이 자격증을 취득 할 수 있습니다.
NCS 분류
– 직무의 유형(Type)을 중심으로 국가직무능력표준의 단계적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대분류(24개) → 중분류(81개) → 소분류(273개) → 세분류(1,093개)’의 순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NCS 구성
– 능력 단위 또는 능력 단위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능력단위는 NCS 기본 구성 요소로 복수의 능력 단위 요소, 적용 범위 및 작업 상황, 평가지침, 직업기초능력 등의 정보로 구성되고, 능력단위요소는 수행준거, 지식• 기술• 태도로 구성된다.
– 능력단위는 능력단위분류번호, 능력단위정의, 능력단위요소(수행준거, 지식・기술・태도), 적용범위 및 작업상황, 평가지침, 직업기초능력 등으로 구성된다.
정의: NCS 학습모듈은 NCS의 능력단위를 교육훈련에서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한 '교수•학습 자료'입니다. NCS 학습모듈은 구체적 직무를 학습할 수 있도록 이론 및 실습과 관련된 내용을 상세하게 제시하고 있습니다.
NCS학습모듈 개념도
NCS와 NCS학습모듈의 연결 관계
NCS학습모듈의 활용
– 산업현장에서는 승진/채용 및 인사노무관리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합니다.
– 교육현장에서는 교육과정개발 및 교수학습 교재로 실무 중심의 NCS학습모듈을 활용하여 이론 중심의 현행 교재를 보완 할 수 있습니다.
정의: 산업별역량체계(Sectoral Qualifications Framework, 이하 'SQF')란 산업분야별로 현장에서 통용되는 표준 직무를 도출하여 표준화하고, 직무 수행에 필요한 능력을 구조화한 것으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등을 토대로 교육훈련-학위-자격-경력을 연계하여 활용하는 체계를 의미합니다.
SQF의 개념
– 산업(Sector)이란 일반적으로 산업 등 활동분야, 영역을 의미하는 말로, 일반적인 근로자의 경력이동이 가능한 범위를 의미한다. 따라서 특정 산업(Industry)이 근로자의 경력이동을 고려하면 다양한 Sector로 세분화될 수 있다.
– 역량(Qualification)이란 직업이나 특정 업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자질, 소질, 능력을 의미하며, 학위, 직업자격(국가기술자격 등), 교육훈련이수증 등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역량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자격’으로 번역되나, 용어상 혼란을 피하기 위해 ‘역량’으로 표현한다.
– 체계(Framework)란 골격, 뼈대, 구조물을 의미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프레임은 다양한 기능을 발휘하는 부품을 장착하기 위한 골격을 뜻한다. 따라서 SQF는 해당 산업과 관련된 학위, 자격, 교육훈련 등을 장착하기 위한 골조 혹은 틀을 의미한다.
직무역량체계(Competency Map): 해당 산업의 직무별, 수준별 요구역량이 정의된 체계
역량인정방안(Qualification Map): 직무역량체계를 토대로 학위, 자격, 직업훈련 이수결과, 현장경력 등을 연계한 것
NCS와 산업별역량체계(SQF)의 관계
산업별역량체계(SQF) 활용 효과
NCS는 산업 현장의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능력(지식, 기술, 태도)을 국가적 차원에서 표준화 한 것으로 능력단위 또는 능력단위의 집합을 의미합니다.
NCS 활용패키지(경력개발경로, 직무기술서, 체크리스트, 자가진단도구)등을 활용하여 개인은 경력개발경로찾기, 직무능력진단을 기업은 기업활용컨설팅, 기업활용교육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NCS가 불필요한 스펙에서 직무능력으로의 채용 패러다임 전환에 기여는 하였으나, 여전히 직무능력에 대한 수준을 반영하는 부분은 미흡하다고 할 수 있는 부분을 SQF는 교육, 훈련, 자격, 채용 등 인사관리분야에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NCS가 레고 블럭이라면 SQF는 완성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향후에는 정부 주무부처의 방향이 NCS보단 SQF 중심의 사업이 확산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참고 문헌]
∙ 한국산업인력공단(2024). 국가직무능력표준(http://www.ncs.go.kr)에서 2024.08.20 검색
∙ 한국산업인력공단(2020). 산업별역량체계(SQF) 설계 매뉴얼
정보통신기술사 장범수
정보통신기술사 합격수기 및 공부법(122회 최병진 기술사) (0) | 2024.09.02 |
---|---|
AI의 진화 거대 멀티모달 모델 LMM(Large Multimodal Model) (0) | 2024.08.30 |
Cloud 서비스 장애사례와 Multi Cloud의 필요성 (0) | 2024.08.19 |
공간 컴퓨팅(Spatial Computing) (0) | 2024.08.16 |
이동통신에 사용되는 음성코덱 소개 (0) | 2024.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