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7월, 서울시가 지자체 최초로 공공건설에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설계를 의무화하며 디지털 건설 시대의 포문을 열었습니다.
이는 단순히 건축, 도로, 철도에 그치지 않고 정보통신설비 분야까지 확장되며, ICT 업계에서도 주목해야 할 흐름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서울형 BIM 설계기준 시행 내용과 함께, 정보통신설비 분야에서의 BIM 추진현황까지 살펴보며 향후 흐름을 예측해보겠습니다.
BIM은 ‘건물정보모델링(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의 약자로, 설계부터 시공, 유지관리까지 건설 전 과정을 3D 모델로 통합 관리하는 기술입니다.
건설물의 실제 구조, 자재, 설비 위치 등을 가상 공간에 디지털로 구현함으로써 오류를 줄이고 공정을 효율화할 수 있는 ‘스마트 건설’의 핵심 기반입니다.
정보통신분야에서는 기존 2D 도면에 비해 BIM을 활용하면 통신 설비 위치 간섭 여부, 배선 최적화, 유지관리 경로 등을 사전에 시뮬레이션할 수 있어 그 활용 가치가 점점 높아지고 있습니다.
서울시는 2025년부터 도로, 철도, 건축 분야 공공 건설사업에 BIM 설계를 전면 의무화하고, 다음과 같은 지침을 제시했습니다.
서울시는 BIM 설계 도입을 통해 설계 품질 향상, 공정 충돌 예방, 유지관리 효율성 증대라는 세 가지 목표를 실현하고자 합니다.
정보통신설비 분야에서도 BIM 도입이 활발히 추진 중입니다.
정부는 2025년까지 건설산업 전반에 BIM을 전면 도입하겠다는 목표 아래, 정보통신분야를 핵심 도입 영역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한국정보통신공사협회와 한국정보통신산업연구원은 다음과 같은 연구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주요 기관들은 설계와 시공단계에서 BIM을 활용하여 설비 효율성과 운영 안정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이제 BIM은 건설업계뿐 아니라 정보통신분야에서도 필수 역량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서울시의 BIM 기준 도입은 단순한 규정이 아닌, 디지털 전환 가속화를 위한 촉매제라 할 수 있습니다.
정보통신 분야 종사자라면 지금부터 BIM 도입 흐름을 주의 깊게 살피고, 관련 역량을 선제적으로 준비하는 것이 미래 경쟁력 확보의 열쇠가 될 것입니다.
정보통신설비 유지보수 의무화!! 건물주 필독!! 과태료 피하는 꿀팁 대방출! (0) | 2025.07.18 |
---|---|
정보통신설비 유지보수‧관리자 교육: 3만㎡ 이상 건축물 의무 선임! 당신의 경력에 날개를 달 기회? (3) | 2025.06.29 |
강우레이더 vs 기상레이더 차이점 정리|폭우·태풍 예측 기술 비교 (3) | 2025.06.20 |
서울시, 서울AI재단 출범! AI 행정혁신의 중추 기관으로 도약 (1) | 2025.05.25 |
데이터안심구역 2025년 총 14곳 확대! 신규 지정 기관 소개 (2) | 2025.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