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일은 지상파 방송 표준 방식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지상파는 전파의 전달방식의 하나로, 지상에 설치된 무선국을 통해 전달되는 전파를 의미하며, 방송은 프로그램을 기획·편성 또는 제작하여 이를 공중에게 전기통신 설비를 이용해 송신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따라서 지상파 방송이란 방송을 목적으로 지상의 송신소 또는 중계소를 이용해 전파를 직접 송수신하는 것으로, 넓은 의미에서는 이를 통해 제공되는 텔레비젼, 라디오, 이동멀티미디어 방송 또는 해당 채널 자체를 포함합니다.
지상파 방송 사업자는 방송법에 따라 방송통신위원회의 허가를 받아야 하며, 설치 또는 운용할 무선설비가 기술기준에 적합한지도 심사를 받아야 합니다. 또한, 전파법에 따라 방송통신위원회는 방송사업용 주파수의 효율적 이용과 이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방송표준 방식을 정하여 고시해야 하며, 지상파 방송 사업자는 이를 준수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해야 합니다.
본 글에서는 표준과 표준화가 무엇인지 알아보고, 국내 지상파 방송에서 사용되는 방송표준 방식들이 어떤 것이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표준이란 합의에 의해 작성되고, 공인된 기관에 의해 승인된 것으로서 주어진 범위 내에서 최적 수준의 성취를 목적으로 공통적이고 반복적인 사용을 위한 규칙, 지침 또는 특성을 제공하는 문서를 의미합니다. 표준은 제정 주체에 따라 공적 표준, 사실 상 표준으로 나눌 수 있으며, 적용 범위에 따라 국제 표준, 국가 표준, 단체 표준 등으로 구분됩니다. 일반적으로 방송통신분야의 표준은 방송통신발전기본법에 따라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를 통해 단체표준으로 추진됩니다. 다만, 국가표준으로 제안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TTA는 해당 단체표준을 국가표준으로 제안할 수도 있습니다.
이를 위해 방송통신 사업자, 제조업체, 연구기관, 정부 부처 등으로 구성된 산·학·연 전문가들은 표준을 정립하고 제정하는 조직적인 활동을 수행하며, 이러한 활동을 표준화라고 부릅니다. 이렇게 정립된 표준은 제정일로부터 5년 이하의 주기로 적부 확인을 통해 적정성을 검토하고 개정 또는 폐지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산업 현장과 연구 개발에서의 활용 가치를 높일 수 있도록 관리하고 있습니다.
오늘날 대다수의 업종에서는 공동의 이익을 추구하기 위해 표준화를 수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 장비 또는 서비스간 상호호환성 향상
❍ 관계자들 간의 의사소통의 원활 (상호이해)
❍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와 신기술, 신상품 등의 시장 수요에 신속 대응
❍ 장비의 품질수준 향상으로 소비자보호에 기여
❍ 장비 및 부품의 호환성 증가와 생산 원가 절감
❍ 국가표준의 개발기반 확충 및 국가표준의 활용도 증대
[그림 1]은 국내 지상파 방송 사업자가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에 대한 방송표준방식을 나타냅니다. 라디오 방송은 ITU-R 권고에 따른 아날로그 변조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텔레비전 방송과 이동멀티미디어 방송의 경우에는 TTA 단체표준에 따른 디지털 변조 방식을 적용합니다. 여기서 [그림 1]에 제시된 단체표준의 내용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송수신 정합 표준
- 주요 내용 :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의 서비스 요구 사항, 시스템 요구 사항 그리고 송수신 정합 표준에 대해 기술
- 표준 번호 : TTAK.KO-07.0014/R4
❍ 지상파 데이터 방송 표준
- 주요 내용 : 데이터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지상파 데이터방송 전송 시스템 및 수신 단말에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 규격, 전송 및 시그널링 규격 등의 제반사항을 기술
- 표준 번호 : TTAK.OT-07.0001/R4
❍ 지상파 UHDTV 방송 송수신 정합 표준
- 주요 내용 : 아래와 같이 개별 표준 문서를 기반으로 지상파 UHDTV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송수신 정합 규격을 정의
· 서비스 및 시스템 요구사항 : IP기반 UHDTV 서비스를 위한 제반사항 기술
· 컴포넌트 :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비디오, 오디오, 자막 등의 신호규격 정의
· 시스템즈 : 프로그램 및 채널 다중화, 링크 계층 프로토콜 정의
· 물리계층 : 기저대역 및 전송대역 신호 파형 정의
· 콘텐츠 보호 : UHDTV 방송 콘텐츠의 불법 녹화 및 유통 방지를 위한 암호화, 포렌식 워터마킹 등 정의
· 3DTV : UHD/HD 융합형 3D 방송 서비스에 대한 규격 정의
- 표준 번호 : TTAK.KO-07.0147 ~ TTAK.KO-07.0153
❍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송수신 정합 표준
- 주요 내용 : 지상파 DMB 서비스 및 시스템 요구사항, 전송 매커니즘, 다중화 구성 정보, 신호 파형 생성 규격 등에 대해 기술
- 표준 번호 : TTAK.KO-07.0024/R2
❍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 송수신 정합 표준
- 주요 내용 : 지상파 DMB 시스템의 스트림 모드, 패킷 모드 또는 PAD 데이터 채널을 이용하여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기본적인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 규정
- 표준 번호 : TTAK.KO-07.0028/R2
❍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비디오 송수신 정합 표준
- 주요 내용 : 지상파 DMB 비디오 서비스의 요구사항, 시스템 구조, 비디오 규격, 오디오 규격, 보조 데이터 규격 등을 규정
- 표준 번호 : TTAK.KO-07.0026/R7
❍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재난경보서비스 표준
- 주요 내용 : 지상파 DMB의 FIC 채널을 이용한 자동 재난 경보 서비스 데이터 전송에 관한 제반사항을 기술
- 표준 번호 : TTAK.KO-07.0046/R6
본 글에서는 표준 및 표준화의 정의와 효과를 살펴보고, 지상파 방송에서 사용되는 방송표준 방식에 대해 간략히 알아보았습니다. 이러한 표준화는 기술과 산업 발전을 촉진하고, 시장에서의 상호호환성과 경쟁력을 확보하는데 필수적인 역할을 제공합니다. 특히 지상파 방송 사업자는 방송표준 방식을 준수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해야하는 의무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표준화 활동은 방송의 품질을 보장하고, 무선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을 돕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앞으로 지속적인 표준화 활동을 통해 방송 분야의 발전은 물론, 사용자 편의와 공공의 이익을 증진하는 환경이 조성되기를 기대합니다.
- FIC : Fast Information Channel
- ITU-R :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Radiocommunication Sector
- PAD : Program-Assoiated Data
- TTA : 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Association
정보통신기술사 이재권
KBS 프로그램 제작에 AI 기술 대거 도입! 창립기념일 맞이한 KBS의 혁신 사례 소개 (0) | 2025.03.04 |
---|---|
블록체인 기반 러닝 앱(UniRun) 개발기 소개 _ [Curation] (0) | 2025.02.19 |
2024년 방송통신광고비 소개 ( 매체별, 광고유형별 현황과 광고 업무 종사자 등) (0) | 2025.01.19 |
Cord-cutting, ATSC 3.0과 5G 방송 테스트 등 2025년 북미 방송 산업 전망 [번역문] (2) | 2025.01.10 |
공동체라디오 방송과 개설 조건 소개 (13) | 2024.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