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KBS 창립 52주년을 맞아, KBS가 방송 프로그램 제작에 새롭게 적용한 AI 기술에 대한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방송과 AI 기술이 어떻게 결합되고, 앞으로 어떤 콘텐츠가 나올지 궁금하시다면 끝까지 읽어보세요!
지난 3월 3일, KBS는 공사창립 52주년을 맞아 방송 현장에 최첨단 AI 기술을 본격 적용한 프로그램들을 선보였습니다. 특히, KBS 한민족방송과 1 라디오 전격시사 등 다양한 프로그램에서 AI 기술을 실제 방송에 도입해 화제가 되고 있는데요. KBS는 앞으로 AI 기술을 전방위적으로 활용해 방송 제작의 효율성을 높이고, 시청자들에게 한층 더 새롭고 재미있는 콘텐츠를 제공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3월 3일 오후 4시 방송되는 <한민족 16시 뉴스>에서는 KBS 김희수 아나운서의 목소리를 학습한 AI 앵커가 뉴스를 진행합니다. AI 앵커는 실제 아나운서처럼 자연스러운 발음과 억양을 구현하는데요. KBS는 이번 시험방송을 시작으로, AI 표준한국어 발음 서비스, AI 시각장애인 해설 방송 등 다양한 AI 기반 시청자 서비스를 확대할 계획입니다.
3월 3일 아침 7시 20분부터 방송되는 <전격시사> 보이는 라디오에서는 KBS가 자체 개발한 AI 촬영 시스템 ‘버티고’가 처음으로 도입됩니다. 버티고는 사람의 발언을 인식해 자동으로 촬영, 화면 전환, 송출까지 스스로 해내는 스마트 장비입니다. 여기에 AI-PTZ 카메라까지 결합해 출연자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추적 자연스러운 앵글 조정과 줌 인·아웃 등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첨단 기술이 적용됩니다. 덕분에 제작진의 업무 부담을 줄이고, 더 역동적인 영상 연출이 가능해질 전망입니다.
KBS는 AI 기술을 활용한 애니메이션도 준비 중입니다. 바로, K-호러 전설인 <전설의 고향-구미호>를 AI 애니메이션으로 재해석한 작품인데요. 캐릭터 디자인, 애니메이션 생성, 음성 합성 등 모두 AI 기술이 활용돼 기대감을 높이고 있습니다. 참고로 이 작품의 예고편은 3월 3일부터 방송을 통해 먼저 공개됩니다.
AI 기술을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는 기회도 마련됩니다. 3월 한 달 동안 KBS 본관 시청자광장에서는 시청자가 작성한 기사를 AI 앵커가 직접 읽어주는 서비스, AI 앵커와 실시간 대화 체험 등 AI 방송 체험 공간이 운영됩니다. 방송 AI 기술에 관심 있는 분들은 꼭 한번 방문해 보세요!
KBS는 재난방송에도 AI를 적극 활용해 가장 빠르고 생생하게 재난 속보를 시청자에게 전달해 재난방송 주관방송사로서의 역할도 더욱 충실히 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자료에 따르면 KBS는 2023년부터 지진, 침수 발생 시 전국 12,000여 대 CCTV를 통해 재난 상황을 자동으로 탐지해 재난방송에 활용하는 시스템을 구축해 왔다고 하는데요. 올해는 여기에 더해 산불 등 화재 상황도 AI로 자동 탐지하도록 시스템을 확대합니다. 올해 사업을 완료하면 지진과 홍수는 물론 태풍, 산불 등 주요 재난 상황을 담은 CCTV 영상을 발생 즉시 전 국민에게 전달할 수 있어 재난 대응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지금까지 KBS 프로그램 제작에 AI 기술 대거 도입 관련 창립기념일 맞이한 KBS의 혁신 사례를 소개했는데요. KBS의 이번 AI 기술 도입 사례는 단순한 실험이 아닌, 앞으로 방송 제작 패러다임의 변화를 알리는 중요한 신호탄인데요.
앞으로도 AI 기술을 활용한 KBS 콘텐츠에 많은 관심 부탁드리며,
새로운 방송 트렌드와 AI 기술 소식도 꾸준히 전해드리겠습니다!
ETRI 美 NAB 2025에서 공개한 AI 미디어 기술 총정리! (0) | 2025.04.05 |
---|---|
KBS 주관, 공동주택 공시청 관리자 교육 소개 (0) | 2025.03.31 |
블록체인 기반 러닝 앱(UniRun) 개발기 소개 _ [Curation] (0) | 2025.02.19 |
지상파 방송 표준 방식 (0) | 2025.02.11 |
2024년 방송통신광고비 소개 ( 매체별, 광고유형별 현황과 광고 업무 종사자 등) (0) | 2025.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