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일에는 우리나라 라디오 방송 발전동향 마지막 회차로 라디오방송 발전 방향 및 세계의 라디오 방송시장 예측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세계는 AM/FM 라디오를 지나 디지털 라디오 그리고 하이브리드 라디오로 진화하고 있지만, 국내는 1965년 FM 라디오가 도입된 후 더 이상 진화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디지털 라디오는 CD급 오디오 서비스뿐만 아니라 교통, 증권, 날씨 등 다양한 부가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가 있어 유럽은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 기술을 개발하여 1995년 영국을 시작으로 많은 국가에서 상용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후 DAB 기술을 향상시킨 DAB+ 기술을 개발하여 2009년 호주를 시작으로 유럽의 많은 국가에서 DAB와 더불어 상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 유럽 대다수 국가에서는DAB and/or DAB+ 서비스를 FM 라디오와 동시에 제공하고 있다. 유럽에서는 2001년에 DRM(Digital Radio Mondiale) 기술 표준을 개발하고 이어 DRM 기술을 향상시킨 DRM+ 기술 표준을 개발하였으나 아직까지는 인도를 중심으로 실험방송을 실시하고 있는 실정이며 상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나라는 없다. 미국 역시 HD Radio 디지털라디오 기술을 개발하고 2003년부터 상용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하였는데, 현재는 캐나다, 멕시코, 인도까지 진출하여 2020년 6월 기준 4200개 이상의 상용 디지털 라디오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통신이 발전함에 따라 유럽에서는 방송과 통신이 융합된 하이브리드 라디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RadioDNS가 설립되어 RadioDNS lookup, slideshow 및 SPI(Service and Programme Information) 등 하이브리드 라디오 서비스 표준을 개발하여 2010년대부터 유럽을 중심으로 상용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하였다. 본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시청중인 지상파 라디오 방송 서비스의 방송 커버리지를 벗어나게 되면 RadioDNS lookup을 이용하여 라디오 방송 서버에 접속하면 스트리밍으로 라디오 서비스를 받아볼 수 있다. 그러다가 다시 지상파 라디오 방송 커버리지 내로 들어오게 되면 지상파 라디오 방송을 직접 수신하여 라디오 방송서비스를 지속적으로 받아보게 된다.
국내에서는 하이브리드 라디오의 장점을 이용하여 라디오 청취자의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해 EBS와 CBS는 스마트폰에서 하이브리드 라디오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독자적인 앱을 개발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2017년 5월 서비스를 시작한 UHDTV는 ATSC (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3.0 표준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데, ATSC 3.0은 최적화된 방통융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All IP(Internet Protocol) 기반으로 설계되어 있다. ATSC 3.0은 오디오 전용 서비스를 별도로 제공할 수가 있는데, 이를 디지털 라디오 서비스로 이용하게 되면 쉽게 하이브리드 라디오 서비스로 확장할 수 있으므로 ATSC 3.0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라디오 서비스도 고려해 볼 수 있다.
The Business Research Company의 “세계의 라디오 방송 시장 보고서(2024년)”에 의하면 라디오 방송 시장 규모는 향후 몇 년 동안 크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8년에는 5.5%의 연평균 복합 성장률(CAGR)로 1,959억 1,000만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예측 기간 동안의 성장은 팟캐스팅 붐, 모바일 플랫폼과의 통합, 라이브 이벤트 및 경험에 대한 강조, 규제 변화, 데이터 분석 및 개인화 구현에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예측 기간의 주요 트렌드에는 광고 기술 발전, 디지털 혁신, 기술 발전, 소셜 미디어와의 통합, 음성 인식 기기 적응 등이 포함된다.
라디오 방송 시장의 성장은 라디오 청취자 증가에 의해 주도되고 있다. 라디오는 음악과 정보의 대화형 플랫폼 역할을 하며 전 세계 뉴스와 이벤트를 전달한다. 예를 들어, Nielsen Media 조사에 따르면 2021년 미국인의 88%, 약 2억 9,300만 명이 매주 지상파(AM/FM) 라디오를 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도의 국영 공공 라디오 방송국인 All India Radio streams의 청취자 수는 2022년 2월 1,700만 명에서 2022년 3월 1,900만 명으로 증가했다. 이에 따라 라디오 청취자 수 증가는 라디오 방송 시장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스마트 스피커에 대한 수요 증가는 라디오 방송 시장의 성장을 더욱 촉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가상 비서 및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스마트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는 음성 명령을 통해 라이브 방송 및 주문형 컨텐츠에 액세스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더 많은 사용자가 라디오 방송의 편의성과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컴스코어(Comscore)에 따르면, 2021년 12월 기준 인터넷 사용자의 48%가 최소 1대의 스마트 스피커를 소유하고 있으며, 이는 2020년 대비 11% 증가한 수치이다. 이러한 스마트 스피커 채택의 급격한 증가는 라디오 방송 시장의 주요 동력이 되고 있다.
라디오 방송은 변화의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기존의 AM/FM 방송뿐만 아니라 인터넷 라디오, 스마트폰 앱 등 다양한 방송 형태와 플랫폼을 통해 라디오는 더욱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며 청취자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선사할 것으로 전망된다. 더불어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음성인식 기술을 통해 라디오 방송이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향으로도 발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보통신기술사 김민중
라이브 스트리밍과 프로그램 제작을 위한 소프트웨어 선택법 (0) | 2024.08.05 |
---|---|
라디오 앱 사용법 소개 _ 데이터 요금 걱정 없이!!! 공짜로 FM라디오 청취 가능!!! (0) | 2024.07.23 |
라디오 방송 발전동향(2/3회) (0) | 2024.07.15 |
라디오 방송 발전 동향(1/3회) (0) | 2024.07.11 |
IP 기반 방송 미디어 제작 장비 영상 전송 인터페이스 기술 동향(3/3회) (0) | 2024.07.03 |